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국 AI의 습격, 딥시크(deepseek) 무료사용 성능은 어떨까?

by 야구의 전문가가 되어보자. 2025. 1. 30.

중국 AI의 습격, 딥시크(deepseek) 무료사용 성능은 어떨까? 1월 20일. 약 10일간 IT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중국 AI 딥시크. '딥(deep : 깊은) + 시크(seek)로 깊이 찾는다'라는 뜻을 가진 중국의 AI가 무료로 오픈되어 순간 많은 이용자들이 이용하면서 서버가 다운까지 되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저 역시 너무 뉴스에 많이 나와 한번 이용해 봅니다.

 

 

 

딥시크(deepseek)무료경험하기
딥시크(deepseek)무료경험하기

 

 

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 구간별 지원금액 확인하기
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 구간별 지원금액 확인하기

 

 

 

 

중국 AI의 습격, 딥시크(deepseek) 무료사용 성능은 어떨까?

중국의 딥시크(deepseek) 사용해 보니, 아직은 챗GPT가 낫다 - 바로가기
중국의 딥시크(deepseek) 사용해 보니, 아직은 챗GPT가 낫다 - 바로가기

 

가장 큰 충격을 받은 업체는 미국의 엔비디아가 제일 엄청나게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시총이 약 5890억 달러. 한화 846조 원이 증발해 버린 것입니다. 전체 관련주를 포함한다면 약 1400조 원이 증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왜 이렇게 딥시크가 파격적인 것일까요?

 

 

 

중국의 딥시크(deepseek) 사용해 보니, 아직은 챗GPT가 낫다
중국의 딥시크(deepseek) 사용해 보니, 아직은 챗GPT가 낫다

 

미국의 자존심이 상한 것은 일단 '저비용 인공지능'이라는 것이 가장 전 세계에 이목을 집중시킨 것입니다. 개발비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엔비디아 AI. ChatGPT 개발비용 : 1억 달러 (1438억 원)
  • 딥시크 개발비용 : 557만 6000달러 (78억 8000만 원)  

엔비디아의 개발비용에 비해 거의 20분의 1의 투자비용으로 개발을 완성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빅테크업체들을 긴장을 시켜 버린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일상회복지원금 1인당 50만원 소상공인 지원금 1000만원 지원하는 그곳은
일상회복지원금 1인당 50만원 소상공인 지원금 1000만원 지원하는 그곳은

 

  • "기술 전환기 때에는 '과소 투자'가 '과잉 투자'보다 훨씬 위험하다"

이는 수익성 논란에도 공격적인 투자를 감행하는 빅테크(기술 대기업)들에게 긴장을 주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딥시크가 미국의 지식재산권을 가져갔다고 주장하고 분쟁의 소지를 가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생활안정자금신청 바로가기
생활안정자금신청 바로가기

 

 

 

중국 AI, 딥시크 사용하는 방법.

deepsheek vs chatGPT
deepsheek vs chatGPT

 

역시, 사용하는 방법은 엄청나게 간단하다. 물론, 구글에 가입되어 있다면 말입니다. 구글에 가입이 되어 있다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번역도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냥 한글로 나와서 물으면 한글로 답변을 합니다. 때로는 영어로 답변을 한 후 한글로 다시 변환하여 답을 해주는 듯합니다.

 

 

소득인정액 바로 계산하기
소득인정액 바로 계산하기

 

 

딥시크는 질문하는 것에 어떤 부문에 대해서는 ChatGPT를 능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미국 수학경시대회 벤치마크 테스트 : 딥시크 (79.8%) vs 챗gpt (79.2%)
  • 코딩 테스트 : 딥시크 (65.9%) vs 챗gpt (63.4%)

하지만, 직접 써 보면 챗gpt가 속도가 조금 빠르며, 문맥이 잘 맞아떨어집니다. 하지만, 딥시크는 아직 어설픈 내용이 나오기도 합니다.

 

 

  • 딥시크가 한국회사에서 개발되었다.
  • 설 특집영화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예상은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아직 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어떤 부문은 조금은 정확하게 이야기하는 것도 있습니다. 역시 '싼 게 비지떡일까요?'. 아닙니다. 이것이 시작이고 빠른 속도로 진화할 것이 분명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에서 엄청나게 긴장을 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대 480만원 청년월세지원 신청바로가기
최대 480만원 청년월세지원 신청바로가기

 

 

중국 딥시크. 창업자 및 개발비용

중국 딥시크 개발자 량원평 - 연합뉴스 캡처
중국 딥시크 개발자 량원평 - 연합뉴스 캡처

 

 

 

중국 딥시크의 경우 1985년생 '량원펑'이라는 분이 개발을 했습니다. 시작은 그의 대학친구들과 퀀트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 공동을 설립한 후 2023년 5월에 하이플라이어의 범용 인공지능(AGI) 연구 조직으로 시작해 분사 및 중국 항저우에서 딥시크를 설립하면서 정말 빠른 성장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딥시크의 개발이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 2023년 5월 : 딥시크 설립
  • 2023년 11월 : 첫 번째 오픈소스 AI모델 '딥시크 코더'출시
  • 2024년 5월 : '딥시크-V2' 출시
  • 2024년 12월 : 거대언어모델(LLM) '딥시크-V3'출시
  • 2025년 1월 20일 : 추론 모델 '딥시크-R1'을 공개

하지만, 아직 많은 의혹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앞서 말한 미국의 지적재산권과 분쟁의 소지가 있습니다.

  • 데이터확보와 관련해 과도한 개인정보수집의혹.
  • 중국 관련 내용을 실시간으로 검열하고 있다는 의혹